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은 의약품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지침이다. GMP 가이드라인은 제조 시설의 청결 유지, 오염 방지, 제조 공정의 명확한 정의와 통제, 작업자의 교육, 기록 관리, 제품 품질에 대한 불만 사항 검토 등을 포함하며,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GMP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시행되며, 세계 보건 기구(WHO), 유럽 연합(EU), 의약품 규제 조화 국제 회의(ICH) 등 다양한 국제기구 및 국가에서 유사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1977년 KGMP를 도입하여 GMP 제도를 시행해왔으며, cGMP 도입을 통해 기준을 강화하고 국제 협력을 강화했다. GMP는 의약품뿐만 아니라 농업, 임상, 유통, 실험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는 GxP의 일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약업 - 임상시험
임상시험은 새로운 의약품이나 치료법의 효능과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연구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안전성 검토, 효능 확인, 부작용 관찰 등을 통해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고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 제약업 - 복제약
복제약은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 만료 후 동일한 유효 성분으로 제조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지만 품질 및 효능 논란이 있어 정부가 약가 및 품질을 관리하는 의약품이다. - 식품 안전 - 식중독
식중독은 부적절한 식품 취급, 조리, 보관으로 인해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자연독, 화학 물질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고,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므로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교육이 요구된다. - 식품 안전 - 저온 살균법
저온 살균법은 액체 식품을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미생물을 제거, 보존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와인 산패 방지에서 시작되어 우유 등 다양한 식품에 적용되며, 온도와 시간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나뉜다. - 식이 보충제 - 글루타민
글루타민은 인체 내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으로 단백질 합성, 에너지 생산, 질소 대사 등 생화학적 과정에 필수적이며 암세포 성장과 관련이 있고, 주로 근육에서 생성되며 의약품 및 건강 보조제로 사용되지만 일부 암 환자에게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 식이 보충제 - 단백질 보충제
단백질 보충제는 근력 훈련과 함께 섭취 시 근육량 증가 및 근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과체중인 사람의 체중 및 지방 감소, 노인의 단백질 섭취 요구량 충족에도 기여할 수 있다.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 |
---|---|
개요 | |
유형 | 품질 관리 시스템 |
목적 | 제품의 일관성 및 품질 보장 |
적용 산업 | 제약 산업 식품 산업 화장품 산업 의료기기 산업 |
규제 기관 |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 의약품청(EMA) 기타 국가별 규제 기관 |
기본 원칙 | |
청결 및 위생 | 제조 환경의 청결 유지 |
문서화 | 모든 절차 및 결과 기록 |
검증 및 교정 | 장비의 정확성 및 신뢰성 확보 |
교육 및 훈련 | 직원의 적절한 교육 및 훈련 실시 |
품질 관리 | 제품의 품질 보증 |
감사 | 시스템의 정기적인 감사 |
상세 내용 | |
정의 | 제품이 의도된 용도에 적합하고 품질 요구 사항을 충족함을 보장하는 시스템 |
필요성 | 소비자 안전 보장 제품의 효과 및 안전성 유지 법적 요구 사항 준수 |
역사 | 1960년대: 의약품 품질 문제 발생 1963년: 미국 FDA에서 GMP 규정 도입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 |
주요 요소 | 원자재 관리 제조 공정 관리 품질 관리 및 시험 포장 및 라벨링 보관 및 유통 불만 처리 및 회수 |
최신 동향 | 품질 위험 관리(QRM) 품질 시스템 접근 방식 데이터 무결성 |
참고 문서 | ICH 가이드라인(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 WHO 기술 보고서 시리즈(세계 보건 기구) 국가별 GMP 규정 |
관련 용어 | |
적격성 평가 (Qualification) | 특정 장비나 시스템이 의도된 대로 작동함을 입증하는 과정 |
밸리데이션 (Validation) | 특정 공정이나 방법이 일관되게 원하는 결과를 생성함을 입증하는 과정 |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표준 작업 절차 |
일탈 (Deviation) | 표준 절차에서 벗어난 경우 |
변경 관리 (Change Control) | 시스템 변경 시 문서화 및 승인 절차 |
2. GMP 가이드라인
GMP 가이드라인은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과정에서 준수해야 할 일반적인 원칙들을 제시한다. 따라서 회사는 품질 프로그램 및 제조 절차를 준비할 때 GMP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업상 필요와 규제 당국의 요구사항에 맞춰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품질 공정을 결정하는 것은 회사의 책임이다.[1]
미국에서는 식품이나 의약품이 제품 규격서대로 생산되었더라도 제조 시설이나 환경이 cGMP 가이드라인에 부합하지 않으면 불량품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GMP가 단순히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규제 기관은 기본적인 GMP 규정 준수 외에도 제조업체의 품질 지표를 살펴보기 시작했다. 미국 식품의약국(US-FDA)은 품질 지표 프로그램을 구현한 제조업체가 제품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직원 행동에 대한 더 깊은 통찰력을 얻는다는 것을 발견했다.[11]
2. 1. 기본 원칙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가이드라인은 제조, 검사, 품질 보증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여 사람이 사용하기에 안전한 제품 생산을 보장하며, 여러 국가는 제조업자들이 따라야 할 GMP 절차를 법제화하고 있다.GMP 가이드라인은 다음의 원칙을 따른다.[34]
- 제조 시설은 깨끗하고 위생적인 제조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 제조 시설은 불순물에서 알러지 유발 항원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사용을 안전하지 않게 만들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하도록 통제된 환경 조건을 유지해야 한다.
- 제조 공정은 명료하게 정의되고 통제되어야 한다. 모든 주요 공정은 일관성을 보장하고 기준(specifications)에 부합하기 위해 밸리데이션된다.
- 제조 공정은 통제되고 공정에 대한 어떤 변경도 평가되어야 한다. 의약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은 필요에 따라 검증된다.
- 설명과 절차는 우수 문서 관리 기준 원칙에 따라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은 언어로 작성되어야 한다.
- 작업자들은 작업 수행과 문서 절차에 관한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 제조 과정은 수기 혹은 컴퓨터로 기록되어야 한다. 기록은 정해진 절차와 지시에 따라 요구되는 단계가 제조 과정에서 실제로 이루어졌으며, 계획된 품질의 식품과 약품이 계획된 수량만큼 생산되었음을 증명해야 한다. 일탈은 조사되고 문서화되어야 한다.
- 제조 기록은 배치 이력 전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알기 쉽고 사용 가능한 양식에 보관되어야 한다.
- 유통 과정에서 제품 품질에 미칠 영향은 최소화해야 한다.
- 판매나 공급된 배치의 리콜을 위한 시스템이 준비되어야 한다.
- 출시된 제품에 대한 불만 사항을 검토하고, 품질 결함의 원인을 조사하며, 결함 있는 제품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한다.
2. 2. 데이터 무결성 (ALCOA)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은 데이터의 완전성과 일관성 및 정확성을 의미한다. 즉, 제조와 관련한 모든 데이터가 생성, 수정, 처리, 유지, 보관, 검색, 전송이라는 데이터의 라이프 사이클 전반에서 일단 생성되면 더 이상 임의로 조작하거나 삭제할 수 없고 지속적으로 잘 보관하고 관리되어 신뢰할 만하고 정확하다는 것이다. 이는 ALCOA를 만족시켜야 한다.[12]미국 식품의약국(US-FDA)은 업계 지침 "데이터 무결성 및 의약품 CGMP 준수"에서 “데이터 무결성이 조직의 핵심 가치임을 직원들이 이해하고 데이터 무결성 문제를 식별하고 즉시 보고하도록 장려하는 품질 문화를 만드는 것은 경영진의 역할입니다.”라고 명시하고 있다.[13]
3. GMP의 역사
GMP는 여러 굵직한 사건들을 거치며 발전해왔다.
1963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탈리도마이드 사건으로 인해 의약품에 대한 보다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여론에 따라 세계 최초로 GMP 기준을 제정·공포하였다.[1]
1982년 시카고 타이레놀 살인 사건으로 인해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모든 일반의약품에 부정조작방지포장을 도입하고 이를 GMP에 포함시켰다.
1989년에는 L-트립토판 사건이 발생하여 원료의약품 GMP(ICH Q7) 제정의 배경이 되었다. 의약품국제조화회의(ICH)는 2000년 원료의약품에 관한 GMP 가이드(ICH Q7)를 발표하였고, 이는 현재 API 제조의 표준이 되었다.
1992년에는 미국의 복제약 제조 회사 임원들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검토자에게 뇌물을 준 사건이 있었다. 이로 인해 미 의회는 복제약 시행령(Generic Drug Enforcement Act of 1992)을 통과시켰다.[1]
3. 1. 탈리도마이드 사건
탈리도마이드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까지 임산부들의 입덧 방지용으로 판매된 약으로, 각종 동물 실험에서 부작용이 거의 드러나지 않아 유럽에서 많은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이 약을 복용한 임산부들이 사지가 짧아지는 기형을 가진 기형아를 출산하면서 판매가 중지되었다.[1] 미국에는 17건에 그쳤으나 유럽에서만 만여 건의 사례가 발견되었던 이 비극적 사건에 대해서 여론이 동요하였고 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입법화가 진행되었다.[1] 1963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세계 최초로 GMP 기준을 제정·공포하였다.[1] 이에 따라 제품은 안전할 뿐만 아니라 의도했던 사용목적에 부합하는 효능이 있어야 했고, 의약품은 임상 단계에서 동물실험을 진행한 후 인체시험을 하고, 의약품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경우 당국에 고지하게 되었다.[1] 제조사는 시장에 출시되기 전에 제대로 기능함을 증명하고, 출시된 제품의 사용에서 발생한 예상치 못한 피해(이상반응)에 대해 보고해야 했다.[1]3. 2. 시카고 타이레놀 살인 사건
1982년, 12세 소녀 메리 켈러만이 감기 기운으로 엑스트라 스트렝스 타이레놀 아세트아미노펜 켑슐을 복용한 후 몇 시간 만에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외에도 같은 제품을 복용한 여섯 명이 사망하였고, 제조사인 존슨앤드존슨은 전국적으로 3,100만 병의 타이레놀을 회수했다. 조사 결과, 시카고 도시권 지역에서 소매로 판매 중인 제품에 누군가 사이안화 칼륨을 주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모든 일반의약품에 부정조작방지포장을 도입하고 이를 GMP에 포함시켰다. 이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 업계는 GMP 교육을 통해 직원이 적절히 교육받고 관리된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 외에도, 살인자들이 제품을 가지고 대중에게 어떻게 피해를 입힐 수 있는지도 고려하기 시작했다.3. 3. L-트립토판 사건
1989년 미국에서 식이보조제를 복용한 사람들 사이에서 호산구증가근육통증후군(EMS)이 발생했다. 미국 질병관리센터는 최소 38명의 사망자를 포함하여 1,50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였다고 확인하였다. 규제 당국의 역학 조사 결과, EMS 발생의 95%가 쇼와덴코에서 공급한 L-트립토판 성분에서 유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1989년 이전이나 이후에 같은 회사의 L-트립토판을 복용한 사람들에게는 EMS가 발생하지 않아, 트립토판 자체의 문제보다는 다른 오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조사가 진행되었으나, 오염원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이 사건은 원료의약품 GMP(ICH Q7) 제정의 배경이 되었다. 당시 미국에서 사용되는 원료의약품(APIs)의 70~80% 이상이 다른 국가에서 수입되고 있었는데, 완제의약품과 달리 APIs는 제조 방법이 다양하여 완제의약품 GMP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APIs 수입원의 국가들이 미국보다 엄격한 기준을 갖지 않아 품질 수준에 대한 가이드가 필요했다. 이에 의약품국제조화회의(ICH)는 2000년 원료의약품에 관한 GMP 가이드(ICH Q7)를 발표하였고, 이는 현재 API 제조의 표준이 되었다.
3. 4. 복제약 스캔들
1992년 미국의 복제약 제조 회사 임원들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검토자에게 뇌물을 준 사건이 있었다. 해당 회사들은 복제약 대신 오리지널 약품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복제약 승인 심사에 제출하였다. 이로 인해 미 의회는 복제약 품목 허가 신청(Abbreviated New Drug Application)에서 발생한 불법행위에 대해 업계 추방 및 과태료를 물리는 법안인 복제약 시행령(Generic Drug Enforcement Act of 1992)을 통과시켰다.[1]4. 대한민국의 GMP
대한민국은 1977년 대한민국 보건사회부 예규로 「우수의약품 제조관리기준」(KGMP)을 제정·고시하면서 GMP 제도를 도입하였다.[1] 1978년에는 「KGMP 시행지침」을 발표하여 제약업체들이 자율적으로 GMP를 실시하도록 권장하였다.[1]
이후 국제적인 GMP 발전 추세에 맞춰 GMP 연구가 진행되었고, 1984년부터 1992년까지 일본, 대만, 유럽, 미국 등에 조사단을 파견하여 선진 GMP 제도를 벤치마킹하였다.[1] 또한, 정부, 학계, 제약업계 인사로 구성된 KGMP 평가위원회를 통해 국내 제약공장의 GMP 실시 상황을 평가하였다.[1] 1990년대에는 KGMP 실시를 의무사항으로 전환하고, 관련 규정 명칭을 변경하는 등 제도 개선이 이루어졌다.[1]
cGMP(Current GMP, 새GMP)는 최신 기술과 시스템을 활용하여 GMP 기준에 맞는 의약품을 생산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제품의 오염, 혼합, 실수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밸리데이션(Validation)이 핵심 개념으로 부상하였다.[36] 밸리데이션은 특정 공정, 방법, 기계설비 또는 시스템이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는지 검증하고 문서화하는 것을 말한다.[36]
2008년에는 밸리데이션이 최초로 포함된 새GMP가 공포되었으며, 2014년에는 대한민국이 PIC/S의 정식 회원이 되었다.
4. 1. 도입 및 발전
세계보건기구는 1969년에 GMP를 발표하고 회원국에게 GMP 제도 도입 및 의약품의 국제거래에 있어서 'GMP 증명제도' 실시를 권고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의약품 제조에 있어 GMP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1977년 3월 15일 대한민국 보건사회부 예규 제373호인 「우수의약품 제조관리기준」(KGMP)을 제정·고시하였다.[1] 1978년 7월 보건사회부는 「KGMP 시행지침」을 발표하여 제조업체가 자율적으로 GMP를 실시하도록 권장하였다.[1]이후 국제적인 GMP 발전 추세에 발맞춰 GMP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성공적인 제도 도입과 정착을 위해 1984년 일본을 시작으로 1992년까지 대만, 유럽, 미국에 조사단을 파견하였다.[1] 동시에 정부, 학계 및 제약업계 인사로 구성된 KGMP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1984년부터 국내 제약공장의 GMP 실시 상황을 평가하였다.[1] 보다 적극적인 GMP 시행을 위해 권장사항이었던 KGMP 실시를 의무사항으로 전환하여 1991년 12월 31일까지 KGMP 실시 적격업소 지정을 완료하도록 하였고, 「우수의약품 제조관리기준」도 1992년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으로, 그리고 1994년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으로 변경되었다.[1]
4. 2. cGMP (Current GMP, 새GMP)
cGMP(Current GMP, 새GMP)는 제조자들이 최신의 기술과 시스템을 사용하여 GMP에 부합하는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년 전에 구비한 시스템이나 장비보다 현재의 표준을 적용하는 것이 제품의 오염, 혼합, 실수 등을 방지하는데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밸리데이션(Validation)이 주요한 개념으로 부상한다. 밸리데이션이란 "특정한 공정, 방법, 기계설비 또는 시스템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판정기준에 맞는 결과를 일관되게 도출한다는 것을 검증하고 이를 문서화하는 것"을 말한다.[36]2003년 식약청은 '21세기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한 KGMP 기준의 선진모델에 관한 연구'라는 용역과제를 공모했고, 한국제약협회가 주관기관으로서 선진국 GMP 수준의 모델을 작성하여 보고하였다. 이를 통해 2008년 약사법 시행규칙 제24조 [별표 2]로 개정 GMP가 공포되었으며, 이것이 밸리데이션이 최초로 포함된 새GMP가 되었다.
2011년 식약청은 ICH Q7에 근거하여 「원료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완제의약품에서 원료의약품, 생물학적제제, 의료기기 등으로 관리 범위를 확장하고, 선진국 GMP와 동일한 수준으로 국내 규정을 전면 개정 시행하면서, 2014년 대한민국은 상호실사협력을 위한 국제기구인 PIC/S의 정식 회원이 되었다.
5. GMP의 적용 및 시행
GMP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세계 보건 기구(WHO)의 GMP는 주로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10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며, 유럽 연합(EU)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GMP도 이와 유사하다. 호주, 캐나다,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필리핀, 베트남 등도 자체적인 GMP를 시행하고 있다.[3][21]
영국에서는 의약품법(1968)에 따라 GMP가 시행되며, 관련 지침은 "The Orange Guide"라고 불린다.[22] 1999년 의약품 규제 조화 국제 회의(ICH)는 활성 의약품 성분에 대한 GMP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으며, ICH 회원국 및 기타 국가에서 적용되고 있다.[21]
대한민국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가 GMP 검사를 수행하여 의약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관리한다.[25]
5. 1. 국제적인 GMP 버전
세계 보건 기구(WHO)의 GMP 버전은 주로 개발 도상국을 중심으로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제약 규제 기관과 제약 산업에서 사용된다.[3] 유럽 연합의 GMP(EU GMP)는 WHO GMP와 유사한 요구 사항을 시행하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버전도 마찬가지이다.[21] 호주, 캐나다, 일본, 사우디 아라비아, 싱가포르, 필리핀, 베트남 등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GMP가 사용되며, 이들 국가는 고도로 발달된/정교한 GMP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다.영국에서는 의약품법 (1968)이 GMP의 대부분의 측면을 다루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The Orange Guide"라고 불린다.[22] 이 가이드의 표지 색깔이 주황색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으며, 공식적으로는 ''제약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를 위한 규칙 및 지침''으로 알려져 있다.
의약품 규제 조화 국제 회의(ICH)에서 1999년에 ''활성 의약품 성분을 위한 우수 의약품 제조 관리 기준''을 출판한 이후, GMP는 이제 ICH에 서명한 국가 및 무역 그룹(EU, 일본 및 미국)에서 적용되며, 활성 원자재의 제조 및 시험에 대한 ICH 지침을 채택한 다른 국가(예: 호주, 캐나다, 싱가포르)에서도 적용된다.[21]
5. 2. 대한민국 GMP 검사
대한민국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서 GMP 검사를 수행한다.[25] 검사관은 의약품이 안전하고 올바르게 생산되도록 정기적인 GMP 검사를 수행한다.6. 기타 우수 실천 (GxP)
GMP와 유사하게, 다른 분야에서도 다양한 우수 실천 시스템이 존재한다.[2][7]
- 우수 농업 실천(GAP): 농업 및 목축업 분야
- 우수 임상 진료 기준(GCP): 사람을 대상으로 새로운 의약품에 대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는 병원 및 임상의
- 우수 유통 관리 기준 (GDP): 인체용 의약품 유통에 대한 지침을 다룬다.
- 우수 실험실 관리 기준(GLP): 비임상 시험(독성학 및 동물 대상 약리학 연구)을 수행하는 실험실
- 우수 의약품 안전 관리 기준 (GVP): 생산된 의약품의 안전성 확보
- 우수 규제 관리 기준 (GRP): 규제 관련 의무, 절차 및 문서 관리
이러한 요구 사항과 기타 우수 실천 요구 사항을 통칭하여 "GxP" 요구 사항이라고 하며, 이들은 모두 유사한 철학을 따른다. 다른 예로는 우수 지침 실천 및 우수 조직 실천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Food and Drink - Good Manufacturing Practice - A Guide to its responsible management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
서적
Global Regulatory Issues for the Cosmetic Industry
William Andrew
[3]
서적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for Pharmaceuticals
https://books.google[...]
CRC Press
[4]
웹사이트
Guidance for Industry: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in Manufacturing, Packaging, Labeling, or Holding Operations for Dietary Supplements; Small Entity Compliance Guide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nd Administration
2017-11-12
[5]
서적
Medical Devices: Regulations, Standards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Elsevier
[6]
웹사이트
Why does Good Manufacturing Practice exist?
https://www.systemva[...]
2024-09-29
[7]
서적
Quality Assurance of Pharmaceuticals: A compendium of guidelines and related materials -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and inspection
WHO Press
[8]
웹사이트
What is Validation?
https://www.systemva[...]
2024-09-29
[9]
웹사이트
What is Validation?
https://www.systemva[...]
2024-09-29
[10]
웹사이트
Performance-Based Safety Regulation {{!}} Policy Studies
http://www.trb.org/P[...]
2020-12-28
[11]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regarding the Quality Metrics Site Visit and Feedback Programs
https://www.fda.gov/[...]
FDA
2019-12-20
[12]
웹사이트
Data Integrity & Audit Trails
https://www.systemva[...]
2024-09-29
[13]
웹사이트
Data Integrity and Compliance With Drug CGMP Questions and Answers Guidance for Industry
https://www.fda.gov/[...]
2021-10-09
[14]
웹사이트
Presentation: Driving a GMP / Quality Culture to provide supporting evidence of better business outcomes
https://www.tga.gov.[...]
2020-12-10
[15]
웹사이트
ISPE – PDA Guide to Improving Quality Culture in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Facilities
https://ispe.org/sit[...]
2020-12-09
[16]
웹사이트
Facts About the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CGMP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7-10-06
[17]
웹사이트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CGMP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7-12-27
[18]
웹사이트
Quality System (QS) Regulation/Medical Device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8-02-02
[19]
웹사이트
Draft Guidance for Industry: Cosmetic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7-11-03
[20]
웹사이트
US CFR Title 21 §210.1(b) Status of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regulations
https://www.ecfr.gov[...]
2017-08-24
[21]
서적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Product Registration
CRC Press
[22]
웹사이트
Rules and Guidance for Pharmaceutical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2017
http://www.pharmpres[...]
Pharmaceutical Press
2018-02-02
[23]
웹사이트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https://www.canada.c[...]
Government of Canada
2015-02-27
[24]
웹사이트
Good manufacturing practice and good distribution practice
https://www.gov.uk/g[...]
2017-10-20
[25]
웹사이트
Guide to Drug Approval System in Korea
https://www.nifds.go[...]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7-04
[26]
웹사이트
Good manufacturing practice - an overview
https://www.tga.gov.[...]
Department of Health,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
2017-09-29
[27]
웹사이트
Assessment of the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Inspection Program of the Bangladesh Directorate General of Drug Administration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05
[28]
웹사이트
Guide to Good Manufacturing Practice for Medicines in South Africa
http://www.mccza.com[...]
Medicines Control Council
2010-08
[29]
웹사이트
Draft Technical Resolution nº 42, May 13th 2015
http://portal.anvisa[...]
World Trade Organization
2015-05-13
[30]
웹사이트
Updated list of WHO GMP Certified Manufacturing Units for Certificate of Pharmaceutical Products (COPP) in various States of India as on December 2016
http://www.cdsco.nic[...]
Central Drugs Standard Control Organization
2017-06-10
[31]
웹사이트
S.R.O. 1012(I)/2017
http://www.dra.gov.p[...]
Government of Pakistan
2017-10-09
[32]
웹사이트
GMP Guidelines
http://www.nafdac.go[...]
National Agency for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Control
2018-02-02
[33]
웹사이트
Guidance for Industry Circumstances that Constitute Delaying, Denying, Limiting, or Refusing a Drug Inspection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10
[34]
서적
Quality Assurance of Pharmaceuticals: A compendium of guidelines and related materials -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and inspection
https://books.google[...]
WHO Press
[35]
간행물
https://gmpnews.ru/w[...]
2001
[36]
간행물
완제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가이던스 (민원인 안내서) 14쪽 밸리데이션 정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